
데이터에 기반한 ‘디지털 의정’의 필요성
종이 출력물 대신 노트북을 들고 다니고, 매장마다 키오스크로 주문을 받는 것이 보편화된 세상. 바야흐로 디지털 대전환 시대가 도래했다. 이러한 흐름에 맞춰 서울시의회도 디지털 친화적 조례를 새롭게 발의했다.
박석 의원이 3월 7일 발의한 「서울특별시의회 디지털 의정 조례안」은 디지털 의정을 실현하기 위한 기본 원칙을 규정하고, 디지털 의정 위원회 구성 및 운영 사항 등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박 의원은 디지털 대전환 시대를 맞아 지방의회도 데이터에 기반한 운영 체계로 변화해야 할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동안 디지털 의정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활용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이 부족했습니다. 작년 말 토론회를 통해 법제도 기반 마련의 필요성과 의정 활동의 효율성 향상, 시민과의 소통 강화에 기여할 수 있는 디지털 의정 발전 방향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돼 이번 조례안을 발의하게 됐습니다.”
박석 의원은 디지털 의정을 통해 행정 편의성을 넘어 시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세 가지 주요 변화를 기대하고 있다.
“첫째, 디지털 의정 정보시스템을 구축해 의정 활동의 편의성과 연속성, 투명성을 확보하고자 합니다. 둘째, ‘디지털 아고라’ 같은 시스템을 통해 시민들의 활발한 의정 참여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서울시의회가 추진 중인 종이 인쇄물 감축 정책의 실효성을 높여 실질적인 탄소 저감에도 기여할 것으로 보입니다.”
-
-
디지털 의정 조례는 단순한 디지털화를 넘어 의회와 시민 간 소통을 강화하고,
의정 활동의 전문성, 효율성, 투명성을 높이기 위한 중요한 첫걸음입니다.박석 의원(도봉3·국민의힘)
디지털 취약계층도 고려한 환경 설계해야
디지털 전환이 필요하지만, 동시에 포용적인 디지털 의정 환경을 조성하는 것도 중요하다. 모든 시민을 위한 디지털 의정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취약계층에 대한 세심한 배려가 필수적이며, 시스템 설계 시 고령자, 장애인 등이 쉽게 접근하고 이용할 수 있는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구축해야 한다는 게 박 의원의 설명이다.
“당장 의원 중에서도 디지털 시스템을 어려워하는 고령자가 많습니다.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 등을 통해 디지털 역량을 강화하고, 디지털 의정 시스템 이용에 어려움을 겪는 시민들을 위한 대안적 참여 경로도 마련하겠습니다. 또 디지털 전환이 또 다른 형태의 소외계층을 만들어내지 않도록 의원과 직원, 시민과 전문가의 의견을 취합해 포용적인 디지털 의정 환경을 조성해 가고자합니다.”
박석 의원은 이번 조례안을 통해 서울시의회가 데이터 기반의 과학적 의정 활동을 펼치고, 디지털 기술로 시민과 더 가까워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 조례를 기반으로 지방의회가 디지털 의정 활동을 통해 시민과 더욱 가까이에서 소통하며, 환경보호에도 기여하는 모범적인 의회로 거듭나길 기대합니다. 시민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디지털 의정 구현을 위해 끊임없이 소통하고 노력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