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29일 2차
-
-
안전·책임행정 실종
한강버스 충분한 검증 필요 - 이영실 의원(중랑1·더불어민주당)
서울시의 한강버스 정식 운항 강행은 무책임하다. 12척 중 단 2척만 시범 운항 중이며, 그마저도 문제를 드러냈다. 충분한 시범 운항과 안전 검증이 이뤄지지 않은 상황에서 정식 운항은 시민 안전을 위협할 수 있다.
#한강버스 #서울시 #시민안전 -
안전·책임행정 실종
-
-
지하철 역사 선거운동
사전신고 중단 및 폐기 촉구 - 김형재 의원(강남2·국민의힘)
서울교통공사의 ‘지하철 역사 내 정당활동 및 선거운동 관련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역사 내 모든 선거운동 및 정당활동은 사전에 허가받아야 한다. 이는 헌법 위반 소지가 있어 즉시 폐지해야 한다.
#지하철 #선거운동 #가이드라인
-
지하철 역사 선거운동
-
-
고교 무상교육 ‘반쪽 예산’
책임 있는 대응에 나서야 - 윤영희 의원(비례·국민의힘)
정부는 매년 고교 무상교육 예산의 47.5%를 부담했지만, 최근 법 개정으로 ‘47.5% 이내’를 부담할 수 있게 됐다. 학생들의 교육권 보장과 학부모의 교육비 부담 완화를 위해 교육감의 책임 있는 대응이 필요하다.
#무상교육 #학생 #교육권 -
고교 무상교육 ‘반쪽 예산’
-
-
24시간 돌봄 체계 구축으로
중증장애인 부담 해소 - 문성호 의원(서대문2·국민의힘)
서울시는 서울특별시립평화로운집 별관 신축을 통해 중증 뇌병변 장애인 24시간 돌봄 시설 확충을 밝힌 바 있다. 확실한 돌봄 대응이 가능한 시설을 구축하는 게 목표인 만큼 독립적 사업으로 진행돼야 한다.
#장애인 #24시간돌봄 #시립평화로운집 -
24시간 돌봄 체계 구축으로
-
-
사망률 높은 청소년 섭식장애
안전망 구축 강력 주장 - 박수빈 의원(강북4·더불어민주당)
서울시와 서울시교육청은 청소년의 비만 문제에는 발 빠르게 대응하지만, 섭식장애에 대해서는 문제 인식조차 없다. 섭식장애에 대한 교육적 접근과 사각지대를 메우기 위한 안전망 구축이 필요하다.
#섭식장애 #거식증 #폭식증
-
사망률 높은 청소년 섭식장애
-
-
청년안심주택 사태
근본적인 법·제도 개선 요구 - 박석 의원(도봉3·국민의힘)
보증금 미반환 문제를 일으킨 청년안심주택 사태의 근본 원인은 2016년에 설계한 정책에 있다. 부작용이 드러난 만큼 정책의 출구전략 마련과 함께 관련 법과 제도의 근본적 개선에 나서야 한다.
#청년안심주택 #보증금미반환 #부동산
-
청년안심주택 사태
-
-
폭염 탓 서울 기온 변화 심각
기후 약자 위한 배려 필요 - 송재혁 의원(노원6·더불어민주당)
폭염으로 인한 서울의 기온 변화가 심각하다. 이런 상황에서 사회적·경제적 약자는 기후 재난에 취약하다. 서울시에서 정책을 만들 때 기후 약자들을 보호할 수 있도록 이들을 향한 관심과 배려가 필요하다.
#폭염 #기후위기 #기후약자 -
폭염 탓 서울 기온 변화 심각
-
-
5500억 투입된 AI 교육 자료
활용 방안 및 지원 촉구 - 홍국표 의원(도봉2·국민의힘)
AI(인공지능) 디지털교과서 도입은 우리 교육의 패러다임을 전환하는 중대한 첫걸음이다. 서울의 모든 학생이 차별 없이 미래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교육감이 실질적 대책 마련에 나서 달라.
#AI디지털교과서 #교육청 #교육정책
-
5500억 투입된 AI 교육 자료